본문 바로가기
교육학

교육에 있어 자기가 주도하는 학습

by 교육학 학자 2024. 11. 22.

교육에 있어 자기가 주도하는 학습을 말하자면 교육을 받는 학생들이 자신이 수업을 따라가는 정도에 맞춰서 교육을 받아들이고 주도적으로 배우는 것을 말합니다. 교육에 있어서 학생 본인이 수업을 주도하여 학습을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에 따라 수업에 있어서의 능률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어렸을 때부터 아침에 눈을 뜨면 학교에 가고 월요일에서 일주일에 다섯 번 학교를 가는 것을 당연하게 여겼습니다. 이전에는 토요일까지 학교를 가서 토요일에는 오전에만 수업을 하였지만 이때도 수업을 하였고 토요일 중에 놀토라고 해서 노는 토요일이 있어서 그때는 학교를 안 가서 참 기뻤습니다. 그렇게 일주일에 여섯 번까지도 학교를 가는 날이 있었습니다. 교육에 있어 자기가 주도하는 학습으로 학교에 가는 것이 지금 와서는 정말 대단하고 어떻게 그렇게 할 수 있었을까 싶었지만 그 당시의 시대의 흐름이 그렇게 하였고 직장인들은 토요일에도 당연히 근무를 하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을 하였습니다. 이렇게 되면 부모님이 안 계시는 동안에 아이들이 학교에라도 가는 것이 안정적이기 때문에 그랬을 수도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교육에 있어 자기가 주도하는 학습은 기계적으로 학교를 가고 선생님이 가르치는 내용을 그대로 적고 하루의 대부분을 학교에서 보내면서 지내고 있습니다.

 

 

학교에서 지내는 시간이 많은데

학교에서 지내는 시간이 많은데 아이들은 자신의 생각을 알리지 않고 학교에서 가르치는 것을 그대로 따르고 지키는 것은 아이들이 자신의 삶을 주도적으로 이끌어내는 삶을 살 수 있는 환경이 되지 않습니다. 교육에 있어 자기가 주도하는 학습을 하는 것에 있어 학생들이 본인이 주도해서 학습을 하는 능력을 기르도록 해야 합니다. 선생님들은 수업을 준비하면서 무조건적으로 아이들에게 지식을 한 방향으로 전달하는 것만 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이 배우는 것을 자기가 주도적으로 할 수 있도록 수업을 구상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학생들이 교육에 있어 자기가 주도하는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고 학교에 있는 시간에서 벗어나 집에서도 그런 자기중심적인 학습을 하는 것이 지속이 되기 위해서는 선생님의 역할이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학교에서 선생님들도 학벌이 다 다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학벌이 좋다고 해서 다 잘 가르치는 것은 아닙니다. 아무리 좋은 학교를 나와도 가르치는 것이 미숙하고 자신이 잘났다고 생각을 하고 학생들을 무시하는 입장을 취할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학생들이 교육에 있어 자기가 주도하는 학습을 하는 기회를 갖지 못하도록 하고 본인이 하고 싶은 말만 하고 본인이 잘났다는 것을 드러내고 싶어서 계속하여 지식을 학생들에게 쏟아내는 것에만 집중을 하는 선생님들도 있습니다. 그 결과 아이들은 수업이 지루하다고 느끼고 수업이 더 이상 들을 가치가 없다고 생각을 해서 수업 시간에 잠을 자거나 다른 행동을 하게 됩니다. 이런 방식으로 선생님과의 거리는 점차 멀어지고 선생님은 자신이 무엇을 잘못하고 있는지를 모르게 됩니다.

 

교육에 있어 자기가 주도하는 학습

 

일반적인 사람의 기준에서는

일반적인 사람의 기준에서는 좋은 학교를 나오지 않아도 전달을 하는 것에 있어서 뛰어난 능력을 가지고 있는 선생님들도 있습니다. 그래서 학력이 좋은 선생님보다 더 평판이 좋고 가르치는 능력이 좋다고 소문이 난 선생님들도 많이 있습니다. 이런 선생님들은 기본적으로 교육에 있어 자기가 주도하는 학습을 하도록 학생들의 말을 자신의 수업에 반영하기 위해 노력을 합니다. 학생들에게 일방향적으로 무언가를 가르치는 것에만 집중을 하는 것이 아니라 수업을 하면서 자신에게만 매몰이 되어있지 않고 학생들의 반응을 지속적으로 살피려고 노력을 합니다. 이것은 분명 더 많은 노력을 요구하고 선생님들을 더 피곤하고 지치게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하는 것이 장기적으로는 학생들에게 교육을 하고 학생들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합니다. 교육에 있어 자기가 주도하는 학습을 위해 학생들을 관찰을 하면서 학생들이 흥미를 느끼지 않거나 수업에 집중을 하지 못하면 잠깐 수업을 중단하거나 아니면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참여를 할 수 있는 토론을 하거나 느낀 점을 돌아가면서 말을 하는 등의 시간을 만드는 것은 학생들이 수업에도 집중을 할 수 있도록 하고 학생들이 교육에 있어 자기가 주도하는 학습을 하여서 수업에 참여를 할 수 있도록 만들어서 수업의 내용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학생들이 자기가 수업을 잘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큰 노력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선생님들이 지속하여 아이들에게 관심을 갖고 아이들과 소통하려고 노력을 하고 아이들이 요즘 어떤 것에 관심을 갖는지를 조금만 귀 기울이고 찾아보면 아이들과 이야기를 하고 아이들이 선생님을 좋아하여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를 할 수 있도록 만듭니다.

 

 

학생들이 교육에 있어 자기가 주도하는 학습을 하는 것이 꼭 학교에서 수업을 받을 때에만 국한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학교 수업을 시작하기 전이나 학교 수업이 끝나고 나서 집에 있는 시간에도 이런 자기가 주도를 하는 학습은 꾸준히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학교에서 그런 교육을 매일 유지를 하면 학생의 몸은 그렇게 하는 것에 적응을 하게 되고 집에 와서도 그런 행동을 이어가게 되는 것입니다. 이때 부모가 어떤 반응을 취하는지는 굉장한 영향을 미칩니다. 부모는 학생이 어떤 책을 읽고 그것에 대해 내용을 공유하자고 하면 그것을 귀찮게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같이 적극적으로 그런 활동에 동참을 할 수 있도록 노력을 해야 합니다. 그래서 교육에 있어 자기가 주도하는 학습을 하도록 학생이 읽는 책을 직장 생활로 피곤할지라도 주말에 같이 읽고 그 책의 내용에 대해 토의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그렇게 학생이 주도적인 학습을 하는 것을 도와야 아이들이 커서도 사회에서 일어나는 현상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비판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비판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게 됩니다. 이런 교육에 있어 자기가 주도하는 학습에 무관심을 보인다면 그런 풍습은 대대로 전해지게 되어서 우리 사회는 서로에게 무관심을 일으키는 사회로 변하게 될지 모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