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학

교육학에서 해석하는 연구의 논리

by 교육학 학자 2024. 12. 17.

교육학에서 해석하는 연구의 논리는 인간에서 인간으로 언어가 전달이 되는 것에서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까지를 말하며 그것으로부터 시작이 됩니다. 인간이 말하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면 오해가 쌓이게 되기 때문에 우리는 이런 오해하는 상황을 만들지 않도록 서로가 하는 말을 잘 해석을 해야 합니다. 그러나 우리가 하는 말 그러니까 언어를 잘 이해하고 해석한다고 해서 상대방이 실제로 어떤 의도를 가지고 어떤 의미에서 이런 말을 했는지를 완전히 이해할 수는 없습니다. 그 이유 중 첫 번째는 상대방이 사용하는 언어는 다른 의미를 지니고 있는 단어일 수 있습니다. 또한 언어를 해석하는 것에서 그에 따라 나오는 행동과 그것이 상징하는 의미가 또 다를 수 있습니다. 교육학에서 해석하는 연구의 논리는 언어를 하고 서로 의사소통을 하는 사람 사이에는 서로의 해석과 그리고 그 해석으로 비롯된 행동을 이해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교육학에서 해석학적 교육학은

교육학에서 해석학적 교육학은 교육이 이루어지는 현상에서 해석학적인 방법을 이용합니다. 교육학에서 해석하는 연구의 논리라고 하는 것은 글자가 의미하는 것을 우리가 검증이 가능하도록 바꿔주고 이를 연구하는 탐구 방법입니다. 해석하고 전체를 이해하는 관점에서 볼 때 글에서 그대로 보이는 것을 해석하고 이해하는 것에만 국한될 것이 아니라 더 넓은 의미를 볼 수 있도록 해서 인간과 그 인간과 소통을 이루는 인간이 만든 물건 사이의 관계를 해석하는 것에 더 중점을 두어야 합니다. 교육이나 인간이 살아오는 자연과 삶은 한순간 그 작동을 멈추는 것도 아니고 모든 것이 완전한 상태에 이르는 것이 아니라 흐름이 계속 이어져 오면서 그 움직임이 크고 여러 상황이 입체적이고 통합이 되어 흘러가기 때문입니다. 교육학에서 해석하는 연구의 논리를 이해를 한다고 말을 할 수 있는데 언어와 언어 외적인 비언어적인 것들 모두에 해석을 적용해 왔다고 할 수 있습니다. 교육학에서 해석하는 연구의 논리의 대상이 되는 것은 교육과 관련된 모든 기록물들, 그리고 교육이 이루어지고 형성해 온 역사,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 등 글에는 다 담을 수 없는 것들에 대해 해석을 하고 그것을 이해하는 것이 해석을 하는 것의 대상이 됩니다.

 

교육학에서 해석하는 연구의 논리

 

문헌에 나오는 그대로의 교육의 내용을

문헌에 나오는 그대로의 교육의 내용을 해석하는 것을 넘어서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교육학을 이해할 때 해석학적 방법을 적용하는 부분은 두 가지에서 영역이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첫 번째는 지나갔던 교육의 해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교육학에서 해석하는 연구의 논리를 연구하는 것을 교육과 관련된 문헌을 해석하는 것으로 보며 기록물이 언어로 되어 있는 것을 해석하는 것을 말합니다. 다른 부분은 현재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교육의 실제를 해석하는 것입니다. 기록물이 언어로 되어 있는 것을 해석하는 것은 교육학에서는 교육을 통해 완성이 되었던 보고 자료, 그동안 수도 없이 많이 적용이 되었던 교육 제도, 교육학에 획을 그을 만한 사건 등 그 종류가 한정이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것들을 해석의 원천으로 보고 이를 해석하는 것이 진정한 해석학이라고 보는 관점이 있습니다. 교육학에서 해석하는 연구의 논리 속에서 어떤 학자는 교육이 이루어지는 현실을 고찰을 하고 그 과정들을 모두 해석을 해서 이론을 도출을 해서 교육학을 정의하는 방법을 택하기도 하였습니다. 교육학에서 도출된 이론을 실제 현실에 적용을 하는 것이 옳은 것인지, 아니면 그 반대의 상황을 적용해야 하는 것인지는 학자들 사이에 의견이 다른 상황입니다.

 

이런저런 방법을 고민을 해봐도

이런저런 방법을 고민을 해봐도 연구를 할 수 있는 목표물이 문헌으로 남겨진 언어의 기록 이외의 것으로 범위를 넓힐 수 있는 것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또한 교육학에서 해석하는 연구의 논리가 이루어지는 현장마다 다양성이 있고 굉장히 역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개개인의 사람들이 만나는 장소이기 때문에 우리가 예측하지 못한 행동이 이루어질 수도 있고 각 경우마다 그때의 상황적 분위기가 적용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모든 부분을 해석할 수 있는 데는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교육의 진정한 뜻과 교육학에서 해석하는 연구의 논리가 추구하여야 할 목적은 교육을 받아온 사람들이 만드는 전체적인 삶과 그리고 그 삶이 하나하나 이루어져 만들어진 인간의 역사를 통해서만 해석이 될 수 있으며 교육학이 어떤 것을 추구해야 할지 그리고 어떤 의미를 가지고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지는 실제로 교육이 이루어지는 속에서의 인간의 행위가 역사와 관련된 속에서만 찾을 수 있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교육학에서 해석하는 연구의 논리는 끊임없이 쌓아오고 생동적으로 움직이는 역사 속에서 항상 다르게 해석이 될 수밖에 없으며 그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 의해서 그때그때 다르게 해석이 되고 적용이 되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떤 보편적인 관점으로 해석이 될 수 없고 개별적으로 다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어떤 절대적인 잣대를 들이밀어서는 안 되고 역동적으로 흘러가는 교육의 현실을 직시하고 언어로 기록이 된 문헌의 형태 속에서 갇히지 않고 그 틀을 깰 수 있는 방향으로 해석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교육이 이루어지는 현실을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파악을 해서 그 해석을 하는 방법에 주목을 하는 것은 교육학에서 해석하는 연구의 논리가 학문으로서 자율을 가지고 독립적으로 적립될 수 있도록 합니다. 교육학을 제대로 연구하기 위해서는 교육학이 다른 학문과는 독립된 자립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인정을 하고 그것이 쌓아온 역사 속에서의 해석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인식을 하게 되었습니다. 교육학에서 해석하는 연구의 논리를 다른 교육 외적인 영역 속과의 관계를 생각하면서 해석을 해야 하기도 하고 교육 그 자체의 전체적인 흐름과의 관계에서도 해석을 하는 두 방향의 해석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해석을 이런 식으로 순환적으로 하는 것은 진정으로 이해하는 것을 기반으로 합니다.